1일차 진행하며 좋았던 점
1차 기초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일단 협업프로젝트를 처음 해본다는 설렘?, 긴장감 등의 기분이 많이 느껴졌다.
아직 개발을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의 프로젝트기간이 기대된다.
우리팀이 맡게 된 프로젝트는 fandom-k라는 서비스인데, 업로드되어 있는 아이돌에 대해 사용자가 좋아하는 아이돌에게 포인트를 후원하며 아이돌의 랭킹을 올리는 플랫폼이다.
이 프로젝트에 대해 본격적인 개발 시작 전에 오늘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되었다.
- 코드컨벤션
- 폴더구조
- 컴포넌트 및 페이지 분석 및 역할 분배
- prettier 및 eslint 세팅
- 트러블슈팅 노션 업데이트
- git 커밋 컨벤션 보완
- 작명방식 및 git 브랜치 전략
- 글로벌 색상 작명방식
각 주제에 대해 팀원 개개인의 생각들을 모두 공유하여 각자의 생각을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의견을 종합하고 하나하나 결정을 하다보니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보다 뭔가 체계적으로 층층이 쌓이는 것 같았다.
또한, 그러한 과정에서 나도 새로운 경험, 새로운 지식들을 알 수 있었고, 의견 개진을 통해서 소프트스킬이 성장하는 기분도 느끼게 되어 좋았다.
프로젝트 준비단계에서 배운 점
💡 트러블슈팅에 대해 알게 되었다.
난 지금까지 트러블슈팅이 프로젝트 진행 도중 생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정리하는 것을 뜻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오늘 협업 전 세팅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팀원과 협업 전 정해야 하는 사항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며 결정해 나가는 과정을 포함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서로의 상황을 공유하고 문제-해결과정을 겪고 공유하는 그런 과정들을 포괄하는 개념이었다.
그래서 이러한 것들을 정리해 두고 이력서와 포트폴리오에 정리하여 면접 전에 한번 더 확인해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서 팀원들에게 노션에 정리하는 것이 어떻냐고 물어보았고, 모두 흔쾌히 공감해줘서 트러블슈팅 업데이트를 직접 담당하기로 했다.
💡 협업 전 어떠한 사항들을 결정해야 하는지 알게 되었다.
협업프로젝트가 아니었으면 계속 몰랐을 중요한 점이 지금까지 내가 경험한 일련의 과정들이었다.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어떤 기술을 사용해서 어떤 식으로, 어떠한 디자인을 적용해서 만들지를 혼자 정하고 바로 시작했었는데, 협업프로젝트는 함께 만드는 것이다보니 서로 다른 코드스타일을 통일하기 위해서, 협업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 생각보다 많은 사항들을 결정해야 했다.
1일차 진행하면서 부족했거나 개선이 필요한 점
열심히 임해주시는 팀원들이 있기에 나도 열심히 안할 수가 없어서 최대한 의견도 개진해 보려고 하고, 내가 지금까지 개발공부를 하며 겪었던 경험, 지식들을 공유하면서 협업에 임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아쉬운 점이 있었다.
- eslint 세팅에 대해선 최근까지도 잘 몰랐어서 관련 의견을 개진하기 어려웠다.
💡 아쉬운 점에 대한 원인
- eslint를 설치만 해놓고 제대로 된 설정없이 사용했다
- prettier가 전부 수정해줘서 거의 eslint 존재감없이 사용했다.
- eslint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했다.
💡 그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지금부터라도 eslint를 설치해서 세팅 후 prettier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해결방안같다. 내가 경험하지 않으면 eslint 공식문서를 들여다봐도 모를 수밖에 없다.
- eslint에 대해 공부한다. 솔직히 이 글을 쓰고있는 지금까지도 eslint의 역할 외에는 자세히 모르고 있다. 따로 시간을 내어 공부하고, 필요하면 포스팅도 해야겠다.
향후 프로젝트에 대해 기대되는 것이나 바라는 점
내가 맡은 역할을 끝까지 잘 수행해내고, 기능이 성공적으로 구현되면 좋겠다.
개인프로젝트를 할 때도 수많은 기능들을 내 손으로 만들어 내고, 한참 해맨 문제를 해결하면 주먹을 불끈 쥐면서 희열을 느끼며 보람을 느낀 적이 수도없이 많았다.
이번엔 협업프로젝트이다. 나 혼자만 만드는 것이 아니기에 정해진 규칙 안에서 서로 적극적인 소통을 하며 진행해야 한다.
그러한 점들을 내가 잘 준수하고, 원활하게 소통하면서 내가 맡은 부분을 잘 구현해서 다른 팀원들에게 도움이 되는 팀원이 되었으면 좋겠다.

'코드잇 프론트엔드 스프린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 협업프로젝트 TIL] 3일차 회고 (6) | 2024.08.27 |
---|---|
[1차 협업프로젝트 TIL] 2일차 회고 (0) | 2024.08.26 |
[8주차 위클리페이퍼] CSS-IN-JS의 장단점 (0) | 2024.08.23 |
[7주차 위클리페이퍼] 웹페이지 렌더링 방식 (0) | 2024.08.16 |
[7주차 위클리페이퍼] 리액트 생명주기 (0) | 202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