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4

알면 편한 git 명령어 Git과 Github 기본개념 및 주요 명령어 사용법 Git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프로젝트의 변경 내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준다. Github는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의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고, 협업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Git을 사용하기 전에는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는 커밋 기록에 포함되어 프로젝트의 기여자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준다.사용자 정보 설정과 단계별 주요 명령어 이는 git config user.name "이름" / git config user.email "이메일주소"와 같이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Git에서는 작업 중인 프로젝트 디렉토리를 working directory 또는 working tree라고 하며, .. 2024. 7. 10.
git 협업 시 알아야할 branch 전략, 참고할만한 명령어 stash 브랜치 전략의 종류 프로젝트가 커졌을 때, 참여인원이 많을 때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수많은 브랜치와 커밋으로 굉장히 복잡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고 브랜치와 merge를 깔끔하게 하고 싶을 때 브랜치 전략을 사용한다. 전략에는 git flow, github flow, trunk-based, gitlab flow가 있는데, 주로 git flow를 사용한다. git flow는 main, develop, feature, release, hotfix 브랜치를 만들어 사용하는 전략이다.  main 브랜치는 중심브랜치이기에 신기능을 만들어서 push하면 안되며, develop 브랜치에 프로젝트를 복사하여 개발을 진행한다. 이 경우, develop 브랜치도 점점 복잡해지기에, 신기능은 feature .. 2024. 5. 18.
git 협업 시 알아야 할 명령어들 - 취소 및 복구 명령어, push & pull git restore 코드를 작성했는데 앞서 작성한 코드가 틀리면 ctrl+z를 눌러서 다시 돌아가면 된다. 그런데 작성 후 하루가 지나서, 또는 해당 작업을 종료했다가 다시 돌아온 경우에는 파일을 실수 전 상태로 복구할 수 있다. 이때 'git restore 파일명'을 입력하여 사용하며, 특정 시점으로 파일을 복구하려면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파일명'을 입력하면 된다. 만약 복구해야 할 파일이 스테이징되어 있어서 이것을 취소하려면 'git restore --staged 파일명'을 입력하면 git add 했던 것이 취소된다. git revert restore 명령어는 복구하는 데 사용된다면, revert는 취소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커밋되어 있는 특정 커밋을 취소하려면.. 2024. 5. 17.
git 협업 시 알아야 될 명령어들 - 브랜치와 merge git branch 협업 시에는 보통 처음부터 끝까지 한 개의 브랜치만 가지고 하는 경우는 없다. 브랜치 전략에 따라서 주된 브랜치 하나 위주로 진행하는 경우는 있더라도 개발하면서 필요할 때 새 브랜치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만약 내가 맡은 역할이 댓글을 입력하면 그 사람에게 알람이 가도록 하는 기능을 만드는 것이라면 해당 기능을 위한 브랜치를 만들어 볼 수 있다. 이때 'git branch 새 브랜치명'을 입력하여 브랜치를 만들고 'git switch 브랜치명'을 입력하여 기존 브랜치와 새 브랜치를 왔다갔다 할 수 있다.  이 git branch를 통해 기능별로 독립적인 개발도 가능하다.  새 브랜치를 통해 개발한 것을 중심브랜치와 합치려면 중심브랜치에서 'git merge 브랜치명'을 입력하여 합칠 .. 2024. 5. 16.